맨위로가기

홍콩 프리미어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프리미어리그는 2014년 출범한 홍콩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다. 2013-14 시즌을 과도기로 거쳐 출범했으며, 키치가 초대 챔피언을 차지했다. 리그는 2라운드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며, 우승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2에 진출한다. 2023-24 시즌에는 비디오 판독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며, 리만 FC가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축구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리그
    홍콩 퍼스트 디비전 리그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는 홍콩의 축구 리그이며, 우승팀은 홍콩 프리미어리그로 승격되고 하위 2팀은 홍콩 세컨드 디비전 리그로 강등된다.
  • 2014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FA 여자 챔피언십
    FA 여자 챔피언십은 잉글랜드 여자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순위의 리그로, 2018-19 시즌에 FA 여자 슈퍼리그 2부 리그에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022-23 시즌에는 12개의 클럽이 참가한다.
  • 2014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동부 해안 농구 리그
    동부 해안 농구 리그(ECBL)는 1999년 담배 도로 농구 리그에서 분리된 팀들을 중심으로 창설된 미국의 농구 리그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중단되었으나 컨퍼런스 재편 후 재개하여 컨퍼런스 챔피언십과 ECBL 슈퍼컵을 통해 우승팀을 결정한다.
  • 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 - A리그 멘
    A리그 멘은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프로 축구 리그로서, 1도시 1팀 체제와 민족색 배제를 통해 대중적 인기 확보를 목표로 2004년 출범하여 현재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및 다양한 더비 매치로 인기를 얻고 있다.
  • 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 - 리가 1 (인도네시아)
    리가 1은 인도네시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서, 여러 리그 통합 및 혼란기를 거쳐 2017년 현재 명칭으로 개편되었으며, 18개 팀이 참가하여 승강제를 통해 리가 2와 교류하고, 스폰서십을 받아 "고젝 트래블로카 리가1"으로도 불리는 인도네시아 축구의 중심 리그이다.
홍콩 프리미어리그
기본 정보
홍콩 프리미어리그 로고
홍콩 프리미어리그 로고
국가홍콩
연맹AFC
창립 연도2014년
참가 클럽 수9
강등홍콩 1부 리그
리그 등급1
국내 컵 대회홍콩 FA컵
홍콩 시니어 챌린지 실드
홍콩 사플링 컵
홍콩 프리미어리그 위원회 컵
대륙 컵 대회AFC 챔피언스리그 투
최근 우승팀리만 (1회 우승)
최근 시즌2023-24
최다 우승팀킷치 (6회 우승)
방송사on.cc
RTHK
웹사이트hkfa.com
현재 시즌2024–25 홍콩 프리미어리그
언어별 명칭
중국어 (정체)香港超級聯賽
중국어 (정체)中銀人壽香港超級聯賽
영어Hong Kong Premier League
약칭 (영어)HKPL
일본어香港スーパーサッカーリーグ
관련 링크

2. 역사

2013-14 홍콩 1부 리그는 홍콩 리그 시스템의 최상위 리그였던 마지막 1부 리그 시즌이다. 2013년 2월 7일, 홍콩 축구 협회는 2014년 가을에 새로운 프리미어리그가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

새로운 리그 출범 초기, 기존 상위 리그 클럽들은 리그 운영 비용 증가에 대한 우려와 이전 1부 리그와의 차별성 부족을 이유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2] 시티즌, 사우스, 선 헤이, 해피 밸리, 툰 문 등 5개 클럽은 참가를 포기하면서 리그 출범에 차질이 예상되기도 했다.[3] 그러나 공적 자금 및 정부 지원을 통해 홍콩 2부 리그 소속 2개 팀이 승격하면서, 총 9개 팀으로 리그가 시작되었다.[4]

2011년에 시작된 '프로젝트 피닉스'를 통해 리그는 새로운 5년 자금 지원 협약, 클럽 라이선스 제도, 상금 제도, 승부 조작 방지 조치 등을 도입하며 개선되었다.[5]

키치는 2014-15 시즌 초대 챔피언에 올랐고,[19][20] 타이 포는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후 이스턴은 20년 만에 첫 번째 최상위 리그 챔피언십을 차지했고, 여성 코치가 관리하는 팀이 최상위 리그에서 우승한 세계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2016-17 시즌, 키치는 다시 타이틀을 탈환했고, 이후 2018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했다. 키치는 2017–18 시즌에 타이틀을 방어하여 다음 해에 챔피언을 되풀이한 최초의 클럽이 되었다. 2018-19 시즌, 타이 포는 1962–63 시즌의 위안 롱 이후 첫 번째 지구 팀으로 최상위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

COVID-19 대유행으로 2021-22 시즌은 중단 및 취소되었으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상위 리그 시즌이 취소된 최초의 사례였다.

2022–23 시즌부터 프리미어리그 위원회가 설립되어 홍콩 프리미어리그를 시장에 홍보하고 상업적 후원을 모색하며, 흥행 수입 분배를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6]

2023-24 시즌에는 비디오 판독(VAR) 시스템이 도입되었다.[7] 리 맨은 한 경기를 남겨두고 리그에서 우승하여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최상위 리그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2. 1. 설립 배경

2013년 2월 7일, 홍콩 축구 협회는 2014년 가을에 새로운 프리미어리그를 시작한다고 발표했으며, 2013-14 시즌은 과도기적인 해가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1] 이에 따라 2013–14 홍콩 1부 리그는 홍콩 리그 시스템의 최상위 리그였던 마지막 1부 리그 시즌이 되었다.

기존 상위 리그 클럽들은 전문 리그 운영에 따른 비용 증가를 우려하여 초기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2] 특히 일부 클럽은 이전 1부 리그와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2] 시티즌, 사우스, 선 헤이, 해피 밸리, 툰 문 5개 클럽은 새로운 리그 참가를 포기했다.[3] 이로 인해 HKFA는 최소 8개 팀으로 리그를 시작하려던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3] 그러나 공적 자금 및 정부 지원을 통해 홍콩 2부 리그의 두 팀이 새로운 리그 라이선스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승격하여, 첫 시즌은 총 9개 팀으로 시작하게 되었다.[4]

2011년에 시작되어 최근 완료된 '프로젝트 피닉스'를 통해 리그는 몇 가지 개선을 이루었으며, 앞으로 추가적인 수정도 계획되어 있다. 개선 사항에는 새로운 5년 자금 지원 협약, 리그 회원 클럽을 위한 새로운 라이선스 제도, 모든 참가 팀에 대한 상금, 부패 및 승부 조작 방지를 위한 새로운 조치 등이 포함된다.[5]

홍콩 프리미어리그의 컨셉은 1980년대에 처음 제시되었다. 당시 강팀이었던 세이코의 오너 황창산은 모든 축구팀이 스폰서를 팀명으로 하고, 각 팀의 외국인 선수 하한선을 6명으로 정하는 홍콩 프리미어리그 설립을 제안했다.[12] 이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가 성립되기 전의 제안이었다.

2007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클럽 선수권 대회 개혁을 위해 아시아 연맹 참가 각국 리그를 재평가했다. 홍콩은 2007년 4월에 연맹 관계자의 방문을 받아 당시 최고 리그였던 홍콩 퍼스트 디비전 리그 경기를 시찰했다. 그러나 연맹의 홍콩 리그 평가는 좋지 않았고, 2009년 개혁 후의 아시아 챔피언스 리그 본선 출전권 획득은 실패했다. 2008년, 연맹의 평가에 따라 축구 협회는 리그 운영위원회의 독립을 승인했다.[13] 이후 홍콩 퍼스트 디비전 리그의 일부 팀은 "홍콩 프로 리그 주식회사 준비 위원회"를 설립하고 협회에 설명을 했지만, 당시 회장이었던 량쿵더는 설명이 간단하고 상세한 계획이 없다고 지적했다. 홍콩 축구 협회는 계획의 일부 시범을 제안하여 2009-10 시즌 개막 전에 커뮤니티 실드를 개최했지만, 협회로부터 독립된 프로 리그나 리그 위원회의 정식 설립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9년, 홍콩 축구는 여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0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북한을 꺾고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고, AFC 컵에서는 사우스 차이나가 4강에 진출하여 경기장이 전 경기 만원이었다. 홍콩 올림픽 대표팀은 12월 동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역사적인 금메달을 획득했다. 홍콩 정부는 시민들의 축구 발전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여 2010년 3월 11일 입법회 회의를 통해 민정사무국은 축구 발전을 위한 "봉황 계획"에 대한 컨설턴트 보고서를 발표했다.[14]

홍콩 축구 협회는 "봉황 계획" 보고를 바탕으로 고문단을 소집하고 개혁 초안 작성 및 보고를 실시했다. 2011년 2월 11일 개최된 커미셔너 회의에서 보고된 고문단 초안을 원칙적으로 동의 및 지원하기로 결정했다.[15] 2011년 4월 14일, 홍콩 축구 협회는 특별 회원 대회를 소집하여 헌장의 일부 개정과 "봉황 계획"에 따른 개혁 실시를 참석자 84명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2012년부터 홍콩 프리미어리그 개최를 목표로 했다.[16]

홍콩 프리미어리그는 2012-13 시즌을 첫 개최로 하여 참가 12팀, 첫해에는 강등을 실시하지 않고 매년 팀 수를 늘릴 예정이었다.[17] 2011년 5월 11일, 홍콩 축구 협회는 그 해 세 번째 퍼스트 디비전 간담회를 개최하고, 2011-12 시즌을 톱 디비전으로 하는 마지막 퍼스트 디비전으로 하여 승격 4팀, 강등 2팀으로 정했다. 첫 홍콩 프리미어리그는 마지막 퍼스트 디비전 상위 8팀에 세컨드 디비전 상위 2팀을 더한 10팀으로 구성하기로 했다.[18] 또한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는 모든 팀은 13세부터 18세의 선수가 소속된 유스 팀을 두고, 유스 리그 개최로 리저브 리그를 대체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봉황 계획"의 계획 변경에 따라 홍콩 프로 리그 개막을 2014-15 시즌으로 변경하고, 2012-13년 시즌의 퍼스트 디비전은 승격 4팀 강등 2팀에서 승격 3팀 강등 1팀으로 변경했다. 즉, 12-13년 시즌 상위 9팀에 세컨드 디비전 리그 상위 3팀을 더해 마지막 퍼스트 디비전은 12팀으로 하고, 2013-14 시즌의 홍콩 세컨드 디비전 리그 11팀에 세컨드 디비전 리그 우승팀을 더해 첫 프리미어리그 참가 12팀으로 하기로 했다.

그러나 원래 퍼스트 디비전에 소속되어 있던 사우스 디스트릭트, 신키, 시티즌은 프리미어리그 시스템에 불만을 가지고 첫 프리미어리그 참가를 거부했다. 따라서 첫 홍콩 프리미어리그는 원래 참가해야 할 팀 수보다 적은 9팀으로 구성되었다. 참가팀은 킷치, 사우스 차이나, 선 페가수스, 홍콩 레인저스, 동방, 텐싱 유안롱, 요코하마 FC (홍콩), 와푸 타이포, 웡 타이 신이었다.

2. 2. 리그 출범

2013-14 홍콩 1부 리그는 홍콩 리그 시스템의 최상위 리그였던 마지막 1부 리그 시즌이었다. 2013년 2월 7일, 홍콩 축구 협회는 2014년 가을에 새로운 프리미어리그가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

새로운 리그 출범 초기, 기존 상위 리그 클럽들은 리그 운영 비용 증가에 대한 우려와 이전 1부 리그와의 차별성 부족을 이유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2] 시티즌, 사우스, 선 헤이, 해피 밸리, 툰 문 등 5개 클럽은 참가를 포기하면서 리그 출범에 차질이 예상되기도 했다.[3] 그러나 공적 자금 및 정부 지원을 통해 홍콩 2부 리그 소속 2개 팀이 승격하면서, 총 9개 팀으로 리그가 시작되었다.[4]

2011년에 시작된 '프로젝트 피닉스'를 통해 리그는 새로운 5년 자금 지원 협약, 클럽 라이선스 제도, 상금 제도, 승부 조작 방지 조치 등을 도입하며 개선되었다.[5]

키치는 2014-15 시즌 초대 챔피언에 올랐고,[19][20] 타이 포는 최하위를 기록했다.

2. 3. 발전과 변화

2013-14 홍콩 1부 리그는 홍콩 리그 시스템의 최상위 리그였던 마지막 1부 리그 시즌이었다. 2013년 2월 7일, 홍콩 축구 협회는 2014년 가을에 새로운 프리미어리그가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

상위 리그에 이미 속해 있던 클럽들은 리그 운영 비용 증가에 대한 우려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2] 시티즌, 사우스, 선 헤이, 해피 밸리 및 툰 문 등 5개 클럽은 새로운 리그 참가를 포기했다.[3] 그러나 공적 자금 및 정부 지원을 통해 홍콩 2부 리그의 두 팀이 승격하여, 첫 시즌은 총 9개 팀으로 시작되었다.[4]

2011년에 시작된 '프로젝트 피닉스'가 완료되면서 리그는 개선되었으며, 새로운 5년 자금 지원 협약, 리그 라이선스 제도, 상금, 부패 및 승부 조작 방지 조치가 포함되었다.[5]

키치는 2번의 패배, 총 36점으로 초대 시즌 챔피언에 올랐고, 타이 포는 7점으로 리그 최하위를 기록했다.

다음 시즌, 이스턴은 20년 만에 첫 번째 최상위 리그 챔피언십을 차지했고, 여성 코치가 관리하는 팀이 최상위 리그에서 우승한 세계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웡 타이 신은 리그 최하위로 강등되었다.

2016-17 시즌, 키치는 라이벌 이스턴과의 마지막 날 경기에서 4–1로 승리하며 타이틀을 탈환했다. 이후 이스턴은 시즌 종료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하여 2018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키치와 함께 경쟁했다. HKFC는 최하위를 기록하여 1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키치는 2017–18 시즌에 타이틀을 방어하여 다음 해에 챔피언을 되풀이한 최초의 클럽이 되었다.

2018-19 시즌, 타이 포는 1962–63 시즌의 위안 롱 이후 첫 번째 지구 팀으로 최상위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

COVID-19 대유행으로 2021-22 시즌은 중단 및 취소되었으며, 챔피언십은 보류되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상위 리그 시즌이 취소된 최초의 사례였다.

2022–23 시즌부터 프리미어리그 위원회가 설립되어 홍콩 프리미어리그를 시장에 홍보하고 상업적 후원을 모색하며, 흥행 수입 분배를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6]

2023-24 시즌에는 비디오 판독(VAR) 시스템이 도입되었다.[7] 리 맨은 한 경기를 남겨두고 리그에서 우승하여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최상위 리그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홍콩 프리미어리그의 컨셉은 198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강호 팀이었던 세이코의 오너 황창산은 모든 축구팀의 팀명에 스폰서명을 포함하고, 외국인 선수 하한선을 6명으로 정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홍콩 프리미어리그 설립을 제안했다.[12]

2007년 아시아 축구 연맹은 AFC 챔피언스 리그 개혁을 위해 홍콩 리그를 재평가했지만, 낮은 평가로 인해 AFC 챔피언스 리그 본선 진출권을 얻지 못했다. 2008년, 축구 협회는 리그 운영위원회의 독립을 승인했고,[13] 일부 팀은 "홍콩 프로 리그 주식회사 준비 위원회"를 설립했지만, 당시 회장은 계획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2009년, 홍콩 축구는 2010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선 라운드 진출, AFC 컵 4강 진출, 동아시아 경기 대회 금메달 획득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홍콩 정부는 2010년 3월 11일 입법회 회의를 통해 축구 발전을 위한 "봉황 계획"을 발표했다.[14]

홍콩 축구 협회는 "봉황 계획"을 바탕으로 2011년 2월 11일 커미셔너 회의에서 개혁 초안을 보고했고,[15] 2011년 4월 14일 특별 회원 대회를 통해 2012년부터 홍콩 프리미어리그 개최를 목표로 했다.[16]

2011년 5월 11일, 홍콩 축구 협회는 2011-12 시즌을 마지막 퍼스트 디비전으로 하고, 첫 홍콩 프리미어리그는 마지막 퍼스트 디비전 상위 8팀과 세컨드 디비전 상위 2팀, 총 10팀으로 구성하기로 했다.[18]

"봉황 계획" 변경에 따라, 홍콩 프로 리그 개막은 2014-15 시즌으로 변경되었고, 2013-14 시즌의 홍콩 세컨드 디비전 리그 11팀에 세컨드 디비전 리그 우승팀을 더해, 첫 프리미어리그 참가 12팀으로 하기로 했다. 그러나 사우스 디스트릭트, 신키, 시티즌은 프리미어리그 시스템에 불만을 품고 참가를 거부하여, 첫 홍콩 프리미어리그는 9개 팀으로 시작되었다.

2019-20 시즌은 코로나19 방역 대책으로 인해 중단 또는 연기되었고, 연기에 응한 6개 팀만으로 2020년 9-10월에 14경기가 개최되었다.

3. 리그 구성

2014년 9월, 홍콩 프리미어리그는 9개 팀으로 첫 시즌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강등 시스템을 적용하지 않고 12개 팀이 될 때까지 상위 리그로 승격시키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나,[8] 최종적으로 한 팀을 강등시키고 2014–15 홍콩 1부 리그에서 한 팀을 승격시키는 방식으로 결정되었다.[9]

2016-17 시즌, 리그는 11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2015–16 홍콩 1부 리그 1위 팀 타이포와 HKFC가 승격했고, 홍콩 사플링과 R&F가 합류했다. 웡 타이 신은 강등되었고, 메트로 갤러리는 재정난으로 자진 강등했다.[9]

2017-18 시즌, 리그는 10개 팀으로 축소되었다. 사우스 차이나가 재정 문제로 1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HKFC도 최하위로 강등되었다.[9]

현재 리그 챔피언과 홍콩 FA컵 챔피언은 AFC 챔피언스 리그 2 조별 리그에 진출한다. 이전에는 FA컵 우승팀과 리그 2, 3, 4위 팀들이 AFC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을 놓고 플레이오프를 치렀으나, 2016-17 시즌 이후 폐지되었다.

홍콩 프리미어리그 참가는 홍콩 축구 협회가 발행하는 "홍콩 클럽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가능하다.[21]

3. 1. 현재 시즌 참가 팀 (2024-25)

첫 시즌현재 시즌의
시즌 수우승 횟수최근 우승이스턴3위1932몽콕대구장2014–15112014–151112015–16HKFC7위1886HKFC 축구장2016–1752021–2240–킷치4위1931몽콕대구장2014–15112014–151162022–23구룡 시티1부 리그 1위2002샴수이포 스포츠 그라운드2024–2512024–2510–리만1위2017정관오 스포츠 그라운드2017–1882017–18812023–24노스 디스트릭트8위2002노스 디스트릭트 스포츠 그라운드2023–2422023–2420–레인저스6위1958칭이 스포츠 그라운드2014–15102019–2060–사우스5위2002홍콩짜이(애버딘) 운동장2015–16102015–16100–타이포2위2002타이포 스포츠 그라운드2014–1582022–23312018–19

3. 2. 과거 참가 팀

2014년 홍콩 프리미어리그 출범 이후, 여러 팀들이 리그에 참가했다가 탈퇴하거나 강등되었다.

해체 / 강등된 팀
설립첫 시즌마지막 시즌총 시즌2024–25 시즌 상태
웡 타이 신19792014–152015–1621부 리그
YFCMD / Dreams Metro Gallery20082014–152015–1621부 리그
사우스 차이나19102014–152016–1731부 리그
Biu Chun Glory Sky / Dreams FC20112016–172018–193해체
호이 킹20152018–192018–1911부 리그
R&F20162016–172019–204해체
위엔 롱19582014–152019–2061부 리그
해피 밸리19502019–202020–212해체
페가수스20082014–152020–2173부 리그
리소시스 캐피탈19822020–212023–2441부 리그
HK U2320212021–222023–243해체
샴수이포20022022–232023–2421부 리그



2016-17 시즌에는 1부 리그에서 타이포와 HKFC가 승격되었고, 홍콩 사플링과 R&F가 추가로 합류했다. 반면 웡 타이 신은 강등되었고, 메트로 갤러리는 재정 문제로 자진 강등되었다.[9]

2017-18 시즌에는 사우스 차이나가 재정 문제로 1부 리그로 강등되었고, HKFC도 최하위로 강등되었다.[9]

3. 3. 경기장

2024-25 시즌 홍콩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는 팀들의 경기장 정보는 다음과 같다.

구단경기장수용 인원경기장 사진
이스턴
키치
몽콕대구장6,664
HKFCHKFC 축구장2,750
카울룬 시티샴수이포운동장2,194
리만청콴오운동장3,500
노스 디스트릭트북구운동장2,500
레인저스칭이운동장1,500
사우스애버딘 운동장9,000
타이포타이포운동장3,200



2019-20 시즌의 경기장 정보는 다음과 같다.

구단경기장수용 인원경기장 사진
홍콩 레인저스툰먼 텅 샤오킨 스포츠 경기장2,500[23]
유위안 체육회斧山道運動場|부산도 운동장중국어2,200
동방 축구단쳉콴오 스포츠 경기장3,500
킷치 SC몽콕 스타디움6,664
리만 FC샴 쉐이 포 스포츠 경기장2,194
홍콩 페가수스홍콩 스타디움40,000
사우스 디스트릭트 FC몽콕 스타디움6,664
타이포 FC타이포 스포츠 경기장3,200
元朗足球會|윈롱 FC중국어윈롱 스타디움5,000
푸리 FC옌쯔강 스타디움 등2,000[24]


4. 리그 방식

2014년 9월에 첫 시즌이 시작되었으며, 9개 팀이 챔피언십을 놓고 경쟁했다. 처음에는 강등 시스템을 처음 몇 시즌 동안 적용하지 않고, 12개 회원 클럽이 될 때까지 팀을 최고 리그로 계속 승격시키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나[8], 결국 홍콩 축구 협회(HKFA)는 한 클럽을 강등시키고 2014–15 홍콩 1부 리그에서 한 클럽을 승격시키기로 결정했다.[9]

2016–17 홍콩 프리미어리그까지 리그는 11개 팀으로 확장되었다. 홍콩 축구 협회는 2015–16 홍콩 1부 리그에서 1위를 차지한 타이포와 HKFC를 리그로 승격시키는 동시에 홍콩 사플링과 R&F를 추가했다. 웡 타이 신은 지난 시즌에서 강등되었고, 메트로 갤러리는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자진 강등을 선택했다.

2017–18 시즌에는 홍콩에서 가장 성공적이고 가장 오래된 최상위 리그 클럽인 사우스 차이나가 회장의 사임 후 프리미어 리그에서 클럽을 유지할 적절한 재정적 수단을 찾지 못해 1부 리그로 강등되면서 리그가 10개 팀으로 축소되었다. HKFC도 최하위로 마감한 후 강등되었다.

4. 1. 경기 방식

홍콩 프리미어리그는 2라운드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된다. 우승팀은 다음 시즌 AFC 주최 대회 출전 자격을 얻으며, AFC 클럽 라이선스를 보유한 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출전할 수 있다. 현재 라이선스를 보유한 팀은 사우스 차이나, 킷치 두 팀이다.

리그 준우승팀, 시니어 쉴드, 홍콩 리그컵, 홍콩 FA컵 우승팀은 프리미어리그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할 자격을 얻는다. (공석이 있는 경우 리그 상위팀이 출전) AFC 컵 출전권을 놓고 경쟁한다. 승강 방식은 1개 팀 승격, 1개 팀 강등이며, 최하위 팀이 강등되고 2부 리그 1위 팀이 승격한다.

4. 2. 국제 대회 출전권

현재 리그 챔피언과 홍콩 FA컵 챔피언은 AFC 챔피언스 리그 2 조별 리그에 진출한다. 이전에는 FA컵 우승팀과 2위, 3위, 4위를 차지한 팀들이 AFC 챔피언스 리그 마지막 출전권을 놓고 시즌 말 플레이오프에서 경쟁했지만, 이 형식은 2016–17 시즌 이후 폐지되었다.[8]

홍콩 프리미어리그 우승팀은 다음 시즌 AFC 주최 대회 출전 자격을 얻으며, AFC 클럽 라이선스를 보유한 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출전할 수 있다. 현재 라이선스를 보유한 팀은 사우스 차이나, 킷치 두 팀이다. 리그 준우승팀, 시니어 쉴드, 홍콩 리그컵, 홍콩 FA컵 우승팀은 프리미어리그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할 자격을 얻어 (공석이 있는 경우 리그 상위팀이 출전), AFC 컵 출전권을 놓고 경쟁한다.

5. 역대 우승팀

번호시즌우승팀팀 수라운드 수
12014-15키체918
22015-16이스턴918
32016-17키체1120
42017-18키체1018
52018-19타이포1018
62019-20키체1018
72020-21키체817
82021-22홍콩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중단817
92022-23키체1020
102023-24리만1122
112024-25927



클럽우승 횟수연도
키체62014-15, 2016-17, 2017-18, 2019-20, 2020-21, 2022-23
이스턴12015-16
타이포12018-19
리만12023-24



홍콩 축구 우승팀 목록도 참조

6. 미디어 중계

광둥어 중계는 온티비와 RTHK TV를 통해 생중계 및 하이라이트 쇼로 제공된다.

영어 중계의 경우, 공식 홍콩 축구 협회(HKFA) 웹사이트와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가 경기 보고서, 선수 인터뷰, 클럽 정보 및 리그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홍콩 풋볼 팟캐스트는 격주로 홍콩 프리미어리그를 다룬다.[11]

참조

[1] 뉴스 Hong Kong soccer body seeks HK$20m in sponsorship for new Premier League http://www.scmp.com/[...] 2013-04-02
[2] 웹사이트 New Hong Kong Premier League no different to First Division: Peter Leung http://www.scmp.com/[...] 2016-03-18
[3] 웹사이트 Premier League's viability in doubt as HKFA deadline looms http://www.scmp.com/[...] 2016-03-18
[4] 웹사이트 Cash-Strapped District Clubs Thrown 'Lifeline' To Take Part In Hong Kong Premier League https://web.archive.[...] 2016-03-18
[5] 웹사이트 Project Phoenix comes to an end http://marksutcliffe[...] 2016-03-18
[6] 웹사이트 港超聯賽會試辦三年推票房共享 伍健:傑志球迷可為東方南區打氣 https://www.hk01.com[...] 2024-09-01
[7] 웹사이트 Hong Kong Football Association to invest HK$10 million in VAR system https://www.scmp.com[...] 2023-06-30
[8] Webarchive 改革港足長遠擬增博彩 鳳凰計劃拍板 http://hk.apple.next[...] Apple Daily 2017-01-02
[9] 뉴스 港超聯搵埋贊助玩大佢 http://football.on.c[...] 2014-08-22
[10] 웹사이트 【港超聯】球會建議成立新港超賽會:開源節流望長遠自負盈虧 https://hk.sports.ya[...] 2024-09-01
[11] 웹사이트 The Hong Kong Football Podcast https://soundcloud.c[...] 2019-06-24
[12] 뉴스 香港超級足球聯賽緣起 http://beyondnewsnet[...] 《超越新聞網》
[13] 웹사이트 足總通過成立職業聯賽會 http://hk.apple.next[...] 2008-07-21
[14] 웹사이트 港府成立足球專責小組 5年內提升足運水平 http://www.chinarevi[...]
[15] 웹사이트 香港足球總會董事局已原則上同意改革報告 http://www.hkfa.com/[...]
[16] 뉴스 鳳凰計劃拍板改革展步 https://orientaldail[...] 《東方日報》 2011-04-15
[17] 뉴스 改革港足長遠擬增博彩 鳳凰計劃拍板 http://www.hk.apple.[...] 《蘋果日報》
[18] 뉴스 港甲來季多變動 銀牌改兩回合主客制 http://www.hkdailyne[...] 《新報》
[19] 뉴스 3:3和大埔提早慶祝 傑志奪首屆港超 http://hk.apple.next[...] 《蘋果日報》 2015-05-03
[20] 뉴스 傑志首屆港超封王 http://paper.wenweip[...] 《文匯報》 2015-05-03
[21] 웹사이트 二〇一四至一五年度香港超級聯賽評審結果公布 https://web.archive.[...] 香港足球總會 2014-07-08
[22] 뉴스 香港超級聯賽9隊獲發牌 東方日報 2014-07-09
[23] 웹사이트 Footballgroundmap https://www.football[...]
[24] 문서 燕子崗体育場の収容能力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